-개요

프로그램에서 데이터를 처리하여 결과를 산출하는 것을 연산이라고 한다

 

-연산자 종류

  • 산술 : +, -, *, /, %
    • % : 나누기에서 나머지를 구하는 연산자
      • ex ) 10을 4로 나누게 된다면 몫은 2고 나머지는 2다. 여기서 나머지를 구할 때 %를 사용하는데 10 % 4를 하면 2가 출력되게 된다.
    • / : 나누기에서 몫을 구하는 연산자
    • * : 곱하기 연산자 (Asterisk라고 부름)
  • 부호 : +, -
  • 문자열 : +
    • 문자열끼리 더해줄때 사용한다.
  • 대입 : =, +=, -=, *=, /=, %=
    • 우선순위가 제일 낮다.
    • Equle Sign 앞에 +, -등의 부호를 붙일 경우
      • ex ) a += 1 이 코드는 a = a + 1과 같은 코드이다.
  • 증감(단항 연산자) : ++, -- 
    • 1씩 증가하거나 감소한다 
    • 단항 연산에서 사용되며 앞에 사용할 경우 연산이 먼저 진행되며 뒤에 사용할 경우 세미콜론 이후에 연산
      • ex ) ++a; 할 경우 1이 증가한 후 코드가 종료된다.
      • ex ) a++; 할경우 코드가 종료된 후 1이 증가한다. 즉 이 줄에서는 a의 상태가 그대로 있고 다음 줄에서부터 ++가 적용된다.
  • 비교 : ==,!=, <, >, <=, =>, instanceof
    • 결과 값은 Boolean형으로 출력
      • == : 각 항이 같은지를 확인 후 같으면 True, 다르면 False
      • != : 각 항이 다른지를 확인 후 다르면 True, 같으면 False
      • <, >, <=, => : 각 항의 대, 소를 비교해서 맞으면 True, 다르면 False
        • ex ) 10 > 5 => True / 10 < 5 => False
        • <, >는 초과, 미만
        • <=, =>는 이상, 이하
  • 논리 : !, &, |, &&, ||, ^
    • && and / || or / xor ^ / not!
    • 부정 연산 :!  boolean type의 값에만 사용 가능
    • and : 피연산자 모두가 True 일 경우 True
    • or : 피연산자 중 하나만 True면 True
    • xor : 피연산자 하나가 true 하나가 false면 true지만 모두 True  또는 False라면 False
  • 이항(항이 두 개) : x + y
  • 삼항 : (조건식)? (조건식이 True면 이곳 출력) : (조건식이 false면 이곳 출력)

'Back-end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파일러 에러  (0) 2021.06.15
8. 조건문(if, else, else if, switch)  (0) 2021.06.14
6. 입출력  (0) 2021.06.09
5. 타입 변환  (0) 2021.06.09
4. 변수의 타입  (0) 2021.06.0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