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의 글에서 조건 문중 IF문을 알아봤는데 이번에는 다른 조건문 두 가지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한다.
먼저 Switch Case문 이다.
switch(조건) {
case 조건확인:
수행 내용
break;
}
if문에서 조건을 여러 개 주려면 else if를 사용했었는데 switch case문으로 조금 더 간결하게 표현을 할 수 있다.
먼저 switch옆에 조건을 넣어준다. 그 뒤 case옆에 조건의 수행 결과를 입력해주면 되는데 코드로 확인해 보자.
//else if 를 사용
const a = 1
const b = 2
if(a > b) {
console.log('a가 b보다 큽니다.')
} else if (a < b) {
console.log('a보다 b가 큽니다.')
}
//switch case 를 사용
switch(a > b) {
case true:
console.log('a가 b보다 큽니다')
break
case false:
console.log('a보다 b가 큽니다.')
break
}
switch case문의 주의할 점이 하나 있다.
각각의 case의 마지막에 꼭 break를 써줘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의도한 결과와 다른 결과가 나올 것이다.
이제 마지막으로 삼항 연산자(Ternary operator)에 대해 알아보자
const a = 1
const b = 2
console.log(a > b ? 'a is big':'b is big')
삼항 연산자의 코드이다.
물음표(?) 앞의 내용이 조건이고 저부분이 True인 경우 콜론(:)으로 구분된 곳 중에 왼쪽이 출력되고 False인 경우 오른쪽이 출력이 된다.
삼항 연산자는 후에 또 이야기할 일이 있을 듯 하니 이 정도로 간단하게 보고 다음으로 넘어가겠다.
'Front-end > Java 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2. 조건문 (IF) part1 (0) | 2021.05.15 |
---|---|
1. 변수(Variable) (0) | 2021.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