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DK : JAVA Development kit

    -개발자를 위한 도구

-JRE : JAVA Runtime Environment

    -실행을 위한 도구

-무료 버전 : 1.8 or 8 version (둘이 동일함)

    .202버전까지 무료

 

위의 내용이 자바를 설치할때 중요한 내용이다.

Oracle페이지에 들어가서 회원가입을 하고 구글에 JDK 8.202를 검색하면 오라클 페이지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다.

 

JAVA로 개발을 하기 위해서는 JDK를 받아주면 되는데 이 안에 JRE가 포함이 되어 있다.

JRE가 포함되어 있는 이유는 작성한 코드를 실행해보려면 JRE가 있어야하기 때문에 포함돼있다.

 

**설치 후에 환경변수를 지정해주라는 글이 많이 있을 텐데 환경변수는 메모장을 사용해서 코드를 작성한다면 필요하다.

하지만 메모장으로 코드를 작성하는 것보다는 Eclipse혹은 IntelliJ 등과 같은 IDE를 사용하기 때문에 환경 변수를 설정해 줄 필요가 없지만 리눅스와 같은 환경에서는 중요하게 여겨진다.

환경변수를 설정할 건데 윈도 환경에서 IDE를 사용하는 유저라면 그냥 넘어가는 게 정신건강에 좋다.

 

먼저 JAVA의 설치가 끝나 있어야 한다.

그 뒤에 왼쪽 밑의 윈도 로고에서 우클릭 후 설정에 들어간다.

1번을 누르고 2번을 눌러준다

아래쪽에 있는 새로 만들기를 눌러주고 변수명을 입력(보통 JAVA_HOME이다)

변수 값으로는 JDK의 폴더 위치를 넣어주자

위의 Path를 더블클릭하면

위와 같이 나오는데 새로 만들기 후 JDK의 bin폴더의 주소를 넣어주고 확인해주면 환경변수 설정 끝이다

 

위의 모든 과정이 끝나고 확인하려면

Ctrl + R => cmd 입력 => java -version과 javac -version을 입력했을 때 아래와 같이 나오면 완료.

'Back-end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입출력  (0) 2021.06.09
5. 타입 변환  (0) 2021.06.09
4. 변수의 타입  (0) 2021.06.09
3. 변수(Variable)  (0) 2021.06.09
2. 프로젝트 생성 및 환경 설정 (and주석;comment)  (0) 2021.06.08

앞의 글에서 조건 문중 IF문을 알아봤는데 이번에는 다른 조건문 두 가지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한다.

먼저 Switch Case문 이다.

switch(조건) {
	case 조건확인:
    	수행 내용
        break;
}

 

if문에서 조건을 여러 개 주려면 else if를 사용했었는데 switch case문으로 조금 더 간결하게 표현을 할 수 있다.

먼저 switch옆에 조건을 넣어준다. 그 뒤 case옆에 조건의 수행 결과를 입력해주면 되는데 코드로 확인해 보자.

//else if 를 사용
const a = 1
const b = 2

if(a > b) {
	console.log('a가 b보다 큽니다.')
} else if (a < b) {
	console.log('a보다 b가 큽니다.')
}

//switch case 를 사용
switch(a > b) {
	case true:
    	console.log('a가 b보다 큽니다')
        break
    case false:
    	console.log('a보다 b가 큽니다.')
        break
}

switch case문의 주의할 점이 하나 있다.

각각의 case의 마지막에 꼭 break를 써줘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의도한 결과와 다른 결과가 나올 것이다.

 

이제 마지막으로 삼항 연산자(Ternary operator)에 대해 알아보자

const a = 1
const b = 2

console.log(a > b ? 'a is big':'b is big')

삼항 연산자의 코드이다.

물음표(?) 앞의 내용이 조건이고 저부분이 True인 경우 콜론(:)으로 구분된 곳 중에 왼쪽이 출력되고 False인 경우 오른쪽이 출력이 된다.

삼항 연산자는 후에 또 이야기할 일이 있을 듯 하니 이 정도로 간단하게 보고 다음으로 넘어가겠다.

'Front-end > Java 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2. 조건문 (IF) part1  (0) 2021.05.15
1. 변수(Variable)  (0) 2021.05.14

오늘 정보처리 산업기사 필기시험 응시했고 평균 65점으로 통과했습니다.

공부는 1달 전부터 강의 조금씩 듣다가 중간에 다 듣지 않고 기출문제만 풀어보면서 준비했습니다.

대략 1주일 정도 구글에 검색하면 나오는 산업기사 cbt모의고사 문제만 하루에 300문 제정도 풀고 오답 확인해가며

공부했고 하루 전에 500문 제정도 풀면서 틀리는 부분 확인했고 시험 보러 들어갔습니다.

 

백엔드에 대해 공부하신 분들은 아무래도 데이터베이스를 다루다 보니 무난하게 넘어갈 수 있을 거고

운영체제 부분도 많이 어렵지 않습니다.

전자계산기와 정보통신 개론 부분이 많이 어려웠는데 이번 연도 3회 차 시험 보시는 분들이 계시다면 전자계산기와 정보통신 개론은 많이 보고 들어가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랜덤으로 나오다 보니 지인이랑 같이 갔는데 다른 문제를 풀고 나온 것 같습니다.

(지인은 생각보다 어려웠다고 했지만 저보다 높은 점수로 합격했습니다)

 

10년 정도 기준으로 잡고 공부했는데 10년 치 문제들만 이해해도 과락 없이 합격 가능할 거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개념 이해도 중요한데 문제 풀면서 어떤 식으로 문제가 나오는지 문제 유형 파악이 제일 중요한 것 같고 어느 정도 공부를 하셨다면 문제를 많이 풀어보는 게 합격하는데 많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내년에 개편이 되면 어느 정도 난이도가 내려갈 것이라고 생각이 되지만 이번 연도에 꼭 보셔야 하는 분들이 계시다면 한 달에서 두 달 정도 여유를 잡고 매일 꾸준히 공부하시고 문제 많이 풀어보시면 떨어지는 일 없이 합격하실 겁니다.

 

시험 보시는 모든 분들 꼭 좋은 결과 있길 바라겠습니다.

if문은 JavaScript의 제어문의 종류 중 하나입니다.

영어의 뜻 그대로 만약 ~하다면 ~내용을 수행해라 라는 제어문입니다.

if (조건) {
	실행 내용
}

기본적으로 위와 같은 문법으로 사용이 가능한데 상세히 살펴보면

제일 앞에 if문을 사용하겠다고 말을 해줍니다.

그 뒤에 소괄호 ()안에 조건을 명시해 주는데 이 소괄호 안의 조건이 true인 경우에 중괄호 {} 안의 내용을 수행해 줍니다.

만약 소괄호 안의 조건이 false라면 중괄호 안의 내용은 무시되고 다음 코드로 진행이 됩니다.

 

조건문은 if / if, else / if, if else, else 와같이 세 가지 표현이 가능합니다.

if만 사용할 경우 조건을 하나만 걸어둘수 있지만 else if를 사용하면 여러 개의 조건

그리고 마지막에 else를 사용할경우 else 위의 모든 if문의 조건이 만족하지 않을 때 수행할 내용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if(조건1) {
	수행
} else if (조건2) {
	조건1이 만족하지 않고 조건2에 만족한다면 수행
} else {
	조건1과 조건2 모두 만족하지 않으면 수행
}

위와 같이 else if를 여러번 사용해 조건을 추가해서 실행 내용을 정할 수 있고 모두 만족하지 않는 경우 else의 내용을 수행하도록 코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간단한 예시와 함께 마무리를 하겠습니다.

const a = 1
const b = 2

if(a > b) {
	console.log('a가 b보다 큽니다.')
} else if (a === b) {
	console.log('a와 b가 같습니다.')
} else if (a > 100) {
	console.log('a가 100보다 큽니다.')
} else if (b > 100) {
	console.log('b가 100보다 큽니다.')
} else {
	console.log('a가 b보다 작습니다.')
}

 

조건문 part2에서 뵙겠습니다.

'Front-end > Java 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3. 조건문 (Switch case / Ternary operator) part2  (0) 2021.05.23
1. 변수(Variable)  (0) 2021.05.14

프로그래밍에서 변수란 데이터 저장을 위해 사용하는 메모리 공간을 식별하기 위해 붙인 이름을 말합니다.

10 + 10

 

 

위와 같은 코드를 작성했다고 가정했을 때 10 + 10이라는 수식의 답을 담을 수 있는 메모리가 필요합니다.

그 메모리의 주소와 연결해주는 역할을 변수가 하는것이고

var a = 10 + 10;

위와 같이 선언을 해줄 수 있습니다.

10 + 10의 코드를 어딘가의 메모리에 담아주고 코드가 담긴 메모리의 주소의 식별자를  a라고 선언해줍니다.

다른 언어와 다르게 변수의 타입을 지정해 주지 않아도 JavaScript가 String인지 Number인지 등을 판단하여 자동으로 타입을 지정해 주기 때문에 프로그래머가 변수의 타입을 지정해주지 않아도 됩니다.

 

JavaScript는 ES6이전에는 위에 작성한 코드와 같이 var로 변수를 선언했습니다.

하지만 중복 선언이 가능하다거나 스코프의 개념이 다른 언어와 다른점 등이 불편한 사항중 하나였기에 ES6에서 새로 변수를 선언하는 방법을 정했습니다.

 

먼저 Const(상수)로 선언을 하는 방법인데 다른 언어의 상수와는 조금 다른 개념일수도 있습니다.

const는 선언과 동시에 값이 할당되어야 하며 수정이 불가능 합니다. 코드를 보면

//선언먼저 한 후에 값의 할당이 불가능 합니다.
const a;
a = 1;

//코드의 재선언 혹은 재할달이 불가능 합니다.
const a = 1;
//100줄의 코드를 썼다고 가정
const a = 2;
a = 2;

위와 같이 선언후에 할당한다거나, 재선언 혹은 재할당이 가능하지 않습니다.

코드를 작성하다보면 변수의 이름 혹은 의도치 않은 재할당을 할수도 있는데 const같은 경우에는 이를 방지해 줍니다.

const box = document.querySelector('.box');
const onClick = e => console.log('hi');

 

위와 같이 html의 element를 가져온다거나 function을 정의할때 많이 사용합니다.

 

그렇다면 값이 수정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var를 써야 될까요?

아닙니다. const와 같이 나온 let이라는 변수 선언 방법이 있습니다.

//선언후 값의 할당이 가능
let a;
a = 1;

//선언과 할당을 동시에 할 수 있음
let b = 1;

//값의 재 할당이 가능
a = 2;

위와 같이 선언후 할당, 값의 재할당 등이 가능합니다. let은 보통

for(let i = 0; i < 10; i++) {
	console.log(i)
}

이런식으로 i가 계속 변해야하는 경우에 사용을 하면 됩니다,

 

하지만 const와 let모두 재선언은 불가능 하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var
var a = 1;
var a = 2;

//const,let
const a = 1;
const a = 2;
let a = 1;
let a = 2;

var은 같은 변수명으로 재선언이 가능하지만 const와 let은 불가능 합니다.

나중에 설명할 스코프에서도 정말 큰 차이가 있습니다.

 

지금까지 변수에 대한 설명 이였습니다. 감사합니다.

'Front-end > Java 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3. 조건문 (Switch case / Ternary operator) part2  (0) 2021.05.23
2. 조건문 (IF) part1  (0) 2021.05.1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