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외 처리
    • 프로그래밍에서 예외처리를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 예외란 에러, 오류 라고도 하며 프로그램이 동작할 때 이러한 예외 때문에 동작을 하지 않는 일이 생긴다
      • 버그와는 다르다. 버그는 오류없이 동작이 되지만 원하는 결과로 나오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 예외 종류
    • 일반 예외
      • 컴파일 단계에서의 에러이다
      • (개발 툴이 메모장이 아니라면) 코드를 작성할때 잘못 작성된 부분에 빨간색으로 밑줄이 생기는 것을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이러한 에러들이 컴파일 단계에서 생기는 일반 예외이다.
      • 이러한 예외는 수정을 하지 않으면 실행기 불가능하다
    • 실행 예외
      • 런타임단계에서의 에러이다
      • 실행 줄 Null pointer exception 등이 흔하게 나타나는 에러로 컴파일 단계에서의 에러는 없지만 실행 시에 에러가 나오면서 프로그램이 종료된다
  • 예외처리 방법
    • try-catch
      • try {
        			
        } catch (Exception e) {
        
        } finally {
        			
        }
      • try : 오류가 날수도 있는 부분을 try괄호 안에 넣어준다
      • catch : try블럭에서 오류가 발생할 시에 catch에서 에러를 받아오며 에러를 어떻게 처리해줄지에 대해 코드를 작성해줄 수 있다
      • finally : 오류와 상관없이 무조건 실행이 되는 블럭이다
    • throws
      • try-catch는 코드를 try블록 안에 넣어서 오류가 생기면 즉시 처리를 해주기 위한 방법이다. 하지만 throws의 경우 다른 누군가에게 위임을 하겠다는 뜻으로 메서드의 이름 옆에 사용해줄 수 있다
      • 일반적으로는 try-catch를 써주는 것이 좋다

'Back-end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객체 지향 설계의 5가지 원칙(SOLID)  (0) 2022.02.06
22. 추상클래스와 인터페이스  (0) 2021.07.24
21. Class - 상속  (0) 2021.07.24
20. Class - final(상수)  (0) 2021.07.24
19. Class - 멤버와 패키지, 접근 제한자  (0) 2021.07.24

+ Recent posts